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제사에 필요한 지방 쓰는 방법과 양식 안내

     

     

    제사 때 신위를 모시지 않는 가정에서는 지방(紙榜)을 사용하여 조상님의 영혼을 모십니다. 지방은 종이로 만든 임시 신위로, 가주(假主) 또는 허위(虛位)라고도 불립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방 쓰는 방법과 함께 사용하기 편리한 지방 양식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지방이란 무엇인가?

     

     

    지방(紙榜)은 조상님을 모시기 위해 사용하는 종이로, 주로 한지에 글씨를 써서 신위로 삼습니다. 지방은 『사례편람』에 따르면, 두꺼운 백지에 중앙에 가늘게 해서체(楷書體)로 글씨를 써서 만듭니다. 이 지방은 제사 때 사용되며, 신주를 모시지 않는 가정에서 임시로 조상님을 모시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지방 쓰는 방법

     

     

    1. 부모님을 위한 지방

     


    부모님 중 한 분만 생존해 계신 경우, 단독으로 지방을 작성합니다. 두 분 다 돌아가셨다면, 부모님을 함께 모신 지방을 작성해야 합니다. 이때, 아버지의 신위를 왼쪽에, 어머니의 신위를 오른쪽에 씁니다.

     

     

    명절제사 지방 쓰는 방법
    명절제사 지방 쓰는 방법명절제사 지방 쓰는 방법

     

    2. 조부모님을 위한 지방

     


    조부모님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할아버지의 신위를 왼쪽에, 할머니의 신위를 오른쪽에 쓰면 됩니다.

     

     

    명절제사 지방 쓰는 방법명절제사 지방 쓰는 방법

     

     

    3. 증조부모님을 위한 지방

     


    증조부모님의 경우도 동일한 방식으로 작성합니다. 증조할머니의 성씨를 수정하여 지방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명절제사 지방 쓰는 방법

     

    4. 남편, 아내를 위한 지방

     


    남편과 아내를 위한 지방을 작성할 때는 각각의 성씨를 적절히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명절제사 지방 쓰는 방법

     

     

     

     

     

    한글로 지방 쓰는 방법

     

     

    전통적으로 지방은 한자로 작성되었지만, 요즘은 한글로 작성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한자를 잘 모르거나 어려워하는 분들은 한글로 지방을 작성해도 무방합니다. 아래에 한글 버전 지방 양식도 제공하오니, 상황에 맞게 활용해 보세요.

     

    명절제사 지방 쓰는 방법명절제사 지방 쓰는 방법

     

    지방 양식 다운로드

    지방쓰는 양식(한글).hwp
    0.05MB

     

     

    지방쓰는 양식(한자).hwp
    0.05MB

     

    지방을 작성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한자와 한글 버전의 지방 양식을 제공합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필요한 양식을 다운로드하세요.

     

     

    이 양식을 사용하면 지방을 작성하는 과정이 훨씬 수월해질 것입니다. 지방 사이즈는 보통 6㎝ × 22㎝로, 한 번 만들어두면 필요할 때마다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지방 문구 작성 방법

     

     

    지방을 작성할 때는 문구의 위치와 크기를 잘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통 글씨는 종이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가늘게 써야 하며, 글씨체는 해서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지방 문구를 작성할 때 어려움을 느끼시는 분들을 위해 예시와 함께 상세한 작성법을 안내해 드립니다.

     

     

     

     

    제사 문구 작성 예시

     

    전통적으로 고(考)는 아버지를 뜻하며,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에는 이 용어를 사용합니다. 마찬가지로, 비(妣)는 어머니를 의미하며,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에 사용됩니다.

     

    돌아가신 아버지가 관직에 있었을 경우 그 직책을 기재하고, 관직이 없으면 처사(處士) 또는 학생(學生)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어머니의 경우, 생전에 봉호(왕이 하사한 호칭)가 있었다면 그 봉호를 사용하고, 없을 경우 '유인모관모씨(孺人某官某氏)'와 같은 표현을 씁니다. 예를 들어 '孺人慶州李氏'와 같이 본관과 성씨를 포함하여 표기합니다.

     

     

    아버지의 경우

     

    '顯考 某官府君 神位'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이는 아버지가 벼슬을 지내셨을 경우에 해당합니다. 할아버지의 경우 '顯祖考', 증조할아버지의 경우 '顯曾祖考'로 기록합니다. 만약 벼슬이 없었다면 '學生(학생)'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일반적으로는 '顯考學生府君神位(현고학생부군신위)'라고 기재합니다. 할아버지의 경우에는 '顯祖考學生府君神位(현조고학생부군신위)'라고 기록합니다.

     

     

    어머니의 경우

     

    '顯某封某氏 神位'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이는 어머니의 부인 호칭과 본관성씨를 기재하는 방식입니다. 할머니의 경우 '顯祖', 증조할머니의 경우 '顯曾祖'로 기록합니다. 어머니가 남편의 벼슬에 따라 부여받은 봉호가 있다면 그에 맞게 '貞敬夫人', '貞夫人', '淑夫人' 등의 봉호를 기재합니다. 만약 봉호가 없다면 '孺人(유인)'이라고 적고, 그다음에 본관 성씨를 추가합니다.

     

     

    기타 사항

    • 부부를 함께 기리는 경우, 제사를 지낼 때는 아버지의 신위를 서쪽에, 어머니의 신위를 동쪽에 모십니다.
    • 아내의 제사는 자식이 있더라도 남편이 제사장을 맡아야 하며, 자식의 제사는 손자가 있어도 아버지가 제사장이 되는 것이 원칙입니다.

    명절제사 지방 쓰는 방법명절제사 지방 쓰는 방법
    명절제사 지방 쓰는 방법명절제사 지방 쓰는 방법
    명절제사 지방 쓰는 방법명절제사 지방 쓰는 방법명절제사 지방 쓰는 방법
    명절제사 지방 쓰는 방법명절제사 지방 쓰는 방법

    반응형